Entries by 재규 전

생리불순, 질염의 다발(20대 여성)-팔물조경계열

생리불순, 질염의 다발을 호소하는 20대 여성분의 처방입니다. 배란과 생리 등 부인과의 이슈는 20대, 30대 여성분들에게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 한의학적으로는 여성들의 증상의 베이스는 혈(血)을 기본으로 고려를 해야 합니다. 생리의 과정에서 생기는 제반 증상들, 2차적으로 나타나는 신경정신과적인 문제, 소화기의 문제, 피부의 문제 등이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젊은 여성분들의 제반증상은 생리의 이슈를 꼭 체크하고, 다른 증상을 호소하는 […]

가슴답답함,두근거림, 식은땀(17세 여)-가감귀비탕

가슴답답함,두근거림, 식은땀을 호소하는 17세 여학생의 처방입니다.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청소년들이 많죠. 동일 증상의 성인분들도 주변에서 많이 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임상적으로는 대체로 여성분들이 더 다발하고, 양방의 관점에서는 자율신경불균형, 갑상선질환, 불안증, 심장질환, 식도염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한의학의 관점에서는 심화(심장의 화), 혈허(혈액순환이 안됨), 열의 편중으로 분류를 하게 되며, 병원 검사상 이상이 없는 경우 한의학의 관점에서 치료하면 좋은 결과를 […]

산후보약-출산을 축하드립니다.

먼저 출산을 축하드립니다. 저도 개원 18년차가 되었네요. 많은 산모와 아이들을 보면서, 아기의 탄생이 가정에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잘 알고 있습니다. 또 임신이 잘 안되었던 많은 분들에게는 간절한 과정이었구요. 그래서 더더욱 출산후 내원하시는 분들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 같습니다. ​ 출산후 1-3개월은 산모의 몸의 회복을 위한 중요한 시기입니다. 임신 출산과정에서 산모의 기혈을 많이 아기에게 주게 […]

만성 회전근개염(오십견)

질환으로는 회전근개염(회전근의 염증, 손상 등)과 오십견(만성적인 염증으로 석회화, 관절낭염증)은 구별되는 질환입니다만, 실생활적인 측면에서는 오십견으로 통칭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견관절 회전의 불리입니다. 귀에 닿지않고, 어깨를 올리라 그러면, 어깨와 팔을 함께 올리지요. 여성분들은 브래지어를 하기 힘들거나, 용변후 뒷처리를 하기 힘든 경우도 제법 있습니다. ​ 이 환자분은 40대 초반의 남성환자분인데, X검사상에서는 특이소견이 없었으며(오십견이 X레이상 특이점이 없을때도 있습니다.). 오랫동안 […]

청소년여드름-청상방풍탕 가감

청소년 시기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의 학생들이 여드름이 나지요. 심하지 않거나, 스스로도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면 치료의 대상은 아니지만, 염증성이 심하다든지, 부위가 넓고 학생이 학업에도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해야 합니다. ​ 15세 남학생이 얼굴 전반적으로 염증성 여드름이 발생한 경우인데, 청상방풍당계열을 처방했습니다. 청상방풍탕은 청소년 여드름에 많이 활용하는 처방인데, 원방그대로 활용하지는 않고 약재의 […]

환절기 비염과 면역력강화(7세 소아)

9월 중순이후부터 부쩍 일교차가 심해지면서 비염환자와 감기환자가 늘고 있네요. 한편 코로나 환자들도 더 많이 늘었습니다. 환절기 적절한 보온과 위생관리에 신경을 써야하겠습니다.  비염은 한의학이 강한 분야입니다. 폐와 기관지의 면역력을 강화하고, 편중된 열(염증)을 조절하는 원리로 처방하여 원리도 명확하며 효과도 좋고, 아이들에게도 안전하지요. 만성적으로 비염과 잦은 감기로 고생하는 아이들이 있다면, 한약 처방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 아래 처방은 7세 […]

20대 여대생 다이어트에 대하여

다이어트는 남녀노소가 따로 없습니다. 다만 연령별로 성별로 구별되는 특성은 있습니다. ​ 오늘은 20대 여대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긴 수험생활이 끝나고 대학만 들어가면 살이 빠질 것 같았으나…막상 현실은 그렇지 않지요. 적극적인 다이어트로 관리를 잘 하는 분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잦은 음주와 외식, 불규칙한 식사 등으로 살이 더 찌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은 이러한 패턴으로 지내다가 […]

쥐가많이남,추위를 잘타는 70대 여성

쥐가많이 나는 증상을 주소증으로 내원한 70대 여성의 처방입니다. 쥐는 근육경련으로 분류됩니다. 이 증상을 바라보는 양방과 한방의 관점이 다릅니다. 양방에서는 전해질, 내분비의 문제, 하지정맥류와 같은 혈관의 문제, 디스크와 협착과 관련한 신경의 문제 등으로 분류가 됩니다. 약물부작용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 바라볼 때는 간혈부족(肝血不足),신정부족(腎精不足)의 관점으로 봅니다. 간혈부족은 연관되는 증상은 어지러움증, 눈의 건조, 피로감이 있으며, 신정부족은 허리 […]

만성습진, 성인아토피의 고찰과 치료

만성습진과 성인아토피는 증상으로 볼때 공통점이 많습니다. 가려움, 발적, 건조감, 진물, 태선화(피부가 두꺼워짐, 피부의 변형)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한편 차이점도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습진은 반복된 자극(접촉성 피부염, 세제, 금속 등) 으로 인해 피부가 손상이 되면서 만성염증으로 발현이 됩니다. 주부습진이 대표적이죠. 국소부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편, 성인아토피는 면역의 불균형과 알레르기 요인, 유전적 요인이 함께 작용합니다. 좀 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