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소화불량, 속쓰림( 20대 여성)

만성 소화불량과 속쓰림, 적은 식사량(과식에 민감) 과민성 장으로 불편함을 호소하는 20대 여성의 처방입니다. 호소하는 증상은 위기허, 비기허로 분류됩니다. 맥진시 약맥으로 약맥(약한 맥)은 한의학적으로 혈허, 기허로 분류합니다. 면색이 창백한 색인데, 이는 역시 혈허로 분류합니다. 한편 복진시, 복벽이 전반적으로 저항감이 없지만(기허), 중완주위에서 긴장과 압통이 있습니다.(식적, 위기허)

이와 같이 한의학적 치료의 접근 방법은 변증이라는 과정을 거쳐 섬세하게 단계적으로 접근합니다. 소화불량에 a, 속쓰림에 b, 과민성장에 c와 같은 기계적인 접근 방법이 아니라, 이를 관통하는 핵심을 보려고 하며, 균형의 회복에 목표를 두고 처방을 합니다.

처방은 이러한 증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정리탕을 기본으로 가감을 하였습니다. 소엽 곽향은 비위의 습을 날려주며, 반하 진피 복령의 조합은 이진탕의 구성으로 위의 담음을 치는 역할을 하며, 후박 지실은 식적을 제거하며, 유근피는 위의 염증을 줄여줍니다. 신곡은 위장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래된 만성적인 위장기능 저하라 2-3개월 투약과 치료를 권해드렸습니다. 불편한점이 개선되도록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