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습진, 아토피성피부염

만성습진과, 아토피성피부염을 호소하는 30대여성의 처방입니다. 한의원에 내원하는 대부분의 피부환자분들은 짧게는 몇개월, 길게는 몇년씩 다른 치료를 받다가 내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기혈의 부족, 알러지 요인, 유전적요인, 기타 개별적 요인들에까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처방의 포인트를 어디로 잡아야할까요.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경우는 한의학에서는 변증을 하게 됩니다. 이 분은 약한 맥(약맥-혈허), 면색이 하얀편(기허,혈허), 중완긴장과 압통(위기허,식적), 장기능이 약하고 가스가 참(비기허), 단중압통 및 증상호소(스트레스-심화), 어지러움과 울렁거림(담음, 위담증) 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처방은 소화기계를 소통하는 방향을 1번으로 잡고 구성해보았습니다. 곽향 소엽은 위의 습을 날리고 피부의 염증을 가볍게 발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후박 지실은 장의 소통을 도와주며, 반하 복령 진피(최상급 유기농 산물진피, 노란색약재 모양은 못생겼지만, 일반진피의 5배가격 이상입니다.)의 조합은 이진탕의 구성으로 위의 담음을 치는 역할을 합니다. 생지황은 량혈보음하는 역할을 하는데, 혈의 열로 인한 피부의 염증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유근피는 위의 염증을 줄여서 피부에 도움이 되는 원리이며, 화피는 피부의 염증에 다용하며,여드름 환자에께 또 많이 쓰는 약재입니다. 향부자는 울결을 풀어줍니다.

본원에 내원하기 전 이미 1년이상 다른 치료를 받다가 내원한 경우여서 최소 3-6개월 이상 꾸준한 투약과 치료를 권해드렸습니다. 불편한점이 개선되도록 함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