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성하허(위로 열이오르고 아래는 허한)체질의 피로(60대 여성)
의인한의원을 개원하고 많은 환자분들을 보면서, 사람의 체질은 참 다른 부분이 많구나라는 것을 자주 느낍니다. 이래서 이제마선생님도 환자를 분류해서 카테고리를 만들어 약재를 구성했구나라는 생각을 종종 합니다. 저는 사상체질만을 기준으로 환자를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사상체질 뿐아니라, 체형, 형상, 한열허실 등으로 좀더 다양한 관점에서 환자를 보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상성하허(위로 열이오르고 아래는 허한)체질의 60대 여성이 내원했습니다. 상성하허, 상열 등이 심한 젊은 분 같은 경우는 열을 내리는 약재도 쓰고 찬약도 여러가지를 구사하는데, 60대 이후 나이가 되면 단순히 그렇게 보면 안됩니다. 원기를 잘 보존하는 것을 늘 생각해야 합니다. 덥다고 아이스크림을 한두개는 먹을 수 있지만 10개를 먹는다면 결국 위장이 탈이 나겠지요.
더군다나, 60대 이후라면 노화라는 이슈에 대해 늘 기억을 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기혈이 많이 소모되어 있습니다. 신양은 떨어지게 되구요(신양은 정력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즉 약을 쓸때도 원기의 보존을 늘 신경을 써야 합니다. 이 분은 숙지황으로 신장을 보강하고, 황기로 보기작용을 도왔습니다. 산수유는 삽정(정을 보존하며), 진피는 기기를 소통합니다(울체된 기운을 풀어줌), 신곡으로 위장을 소통하도록 도와줍니다. 녹용의 질감이 좋지요? 최상급 러시아 녹용 분골 상대로 양기를 복돋아 줍니다. 열감을 조절하고 보음하는 목적으로 생지황을 넣었습니다.
환자여러분들의 불편함이 개선되고, 미소를 되찾도록 의인한의원이 늘 함께 하겠습니다.
#동탄한의원 #동탄한약 #노인보약 #어르신보약 #진맥한의원 #녹용보약 #살구나무아래에서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