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도움되는 한의학의 원리-오행(五行)
오늘은 5라는 숫자로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동양학에서 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수학의 단순한 수리적 개념을 넘어서서 수리+철학의 개념을 통괄하게 됩니다.
바로 윗글에서 사상에서 토(土)가 더해지면 오행이라고 하였습니다.
오행의 가장 기본 심볼은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입니다.
목화토금수에 대응되는 대표적인 개념은
계절로는 -봄,여름, 장하(장마), 가을, 겨울(비가 土의 역할을 합니다.계절이 바뀔때마다 비가 옵니다.)
오장으로는-간,심,비,폐,신(비장이 오장중의 중심역할을 합니다. 위치도 중심이고, 소화기능이 오장의 기능의 기본이 됩니다.)
육부로는- 담, 소장,위, 대장, 방광이됩니다.(육부중 나머지 하나는 삼초입니다. 이건 복잡한 개념이라 추후 기회되면 설명하겠습니다.)
오장육부로는 선조로부터 언어의 조합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비위가 않좋아요”, “간담이 서늘하네”등이 있지요.
방위로는-동 남 중앙 서 북 이 됩니다.(중앙을 土로 보고, 동쪽이 木이 됩니다.)
다음으로 오행의 묘미는 역학관계에 있습니다.
첫째, 목生화, 화生토, 토生금, 금生수 수生목라 하여, “상생의 원리”라고 합니다. 요즘 대통령선거를 앞두고도 이 상생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상생의 원리는 이해하기 쉽습니다.
사계절의 흐름은 상생의 원리로 흘러가는 것이구요.
인체로 본다면, 간에서 혈액을 저장하면, 심장이 혈액을 주관하고 공급하며, 비장은 이 혈액을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폐는 혈애게 기를(공기) 넣어주는 역할이고, 신장은 혈액을 잘 걸러서 노폐물을 배설하는 원리입니다. 어떤 공장보다도 인체의 공장은 유기적으로 아름답게 움직입니다.^^
둘째, 목克토, 토克수, 수克화, 화克금, 금克목 이라 하여 “상극의 원리”가 있습니다. 상생의 원리는 귀에 들어오는데, 상극의 원리는 조금 낯설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상극의 원리는 좀 더 차원높은 법칙이 들어 있습니다.
나무는 흙을 뚫고 나오며, 흙은 물을 담고 있으며, 물은 불을끄며, 불은 금속을 녹이며, 도끼는 나무를 찍을 수 있다.
인체로 비유한다면, 간이 위장의 소화기능을 적절히 통제, 도와주며, 적절한 음식의 소화는 신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신장의 물기운은 심장의 불기운을 적절히 보완하며, 심장은 폐와 협조 작용을 하여 순환기,호흡기를 관장하며, 폐는 간의 소통하는 작용을 보조하여 도와준다는 개념이 됩니다.
상대를 상극한다는 개념은 크게 보면, 상대를 도와주기 위한 상극을 의미합니다. 또다른 비유로는 자식을 때리는 부모의 사랑의 매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가을의 낙엽이 무조건 슬플 필요가 없지요. 겨울을 이겨낼수 있는 준비를 만들어주는 자연의 이치니까요.
이러한 상생,상극의 원리는 처방의 원리 및 침법의 원리에도 굉장히 다양하게 응용됩니다.
심장의 火가 많은 사람은 수극화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기운이 많은 맥문동을 넣기도 하고, 혹은 찬바람을 넣어주는 황금,황련을 넣어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물의 기운을 가진 약재를 쓰면 심장자체의 기운이 저하되는(생명력이 저하) 결과를 낳으므로 적절한 양을 넣어야 합니다. 한방의 원리는 이렇게 굉장히 섬세합니다.
소화가 안되는 사람은 목극토의 원리를 이용하여, 간의 기능을 소통시켜주는 약재를 가미합니다. 스트레스가 많으면 간의 기운이 울체된다고 하는데, 향부자로 막힌 기운을 풀어주고, 시호로 간의 답답함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게 합니다. 혹은 위장 자체에 진액을 공급시켜주는 산약, 위장 자체의 기능을 올려주는 진피, 사인, 목향 등을 가미하기도 합니다.
한의학에서 오행의 원리를 간략히 알아보았는데요. 한의학을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인체의 조화로움을, 자연과 인체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같은 원리로 구성되어 있슴을 깨닫게 됩니다.
현대과학의 최첨단인 DNA또한 인체의 지도가 각 세포에 다 존재한다는 원리이니, 결국은 한의학의 기본원리와 같습니다.
또한 현대사회의 과제인 가족, 사회의 연대와 화합,조화 이러한 개념은 늘 동양학에서 강조해 왔던 개념이니까요. 의학이 더 깊이 들어가면 결국은 사회학,인간학이 되는 것도 그러한 이유인 것 같습니다.
음양과 오행의 원리를 알면 인체와 자연의 원리가 아주 재미있고, 이해가 쉬워집니다. 조화와 균형의 원리를 체득하여, 건강한 몸과 마음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의인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