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유증이 무서운 자동차 사고 – 한방치료가 좋습니다
자동차 사고는 나서는 안되지만, 차량의 많은 증가와 더불어 안타깝게도, 자동차 사고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의원에도 자동차 사고 이후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많이 내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골절, 출혈 등 외상이 심한 경우는 양방병원에 가서 외과적 치료를 먼저 받아야 합니다.
한의원의 치료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양방검사상 특이사항 없는 경우
검사상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는 근육의 경결과 약한 염증이 제일 많습니다. 흔히 얘기하는 근육이 놀랐다, 담결렸다는 표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 경우 양방에서도 일반적인 물리치료 위주로 치료를 하게 됩니다. 한의원에서는 어혈을 풀어주는 한약과 침치료, 물리치료를 함께 병행하게 되어 훨씬 효과적입니다.
2. 정신적충격 및 많이 놀란 경우
1과 연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검사결과 상은 이상이 없는데, 본인은 정신적 외상을 받고, 차를 탈때마다 두렵다든지, 야간에 불면, 혹은 악몽을 자주 꾸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방으로는 심기허증(심장의 기가 허다다), 혈어증(어혈로 인해, 심신이 불안할때)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약과 치료를 하게 됩니다.
3. 양방에서 초기치료(깁스 및 수술)을 받고 난후 계속에서 낫지 않는 경우
초기치료를 잘받고, 수개월이 흘러도 통증부위가 지속적으로 아프다든지 하는 경우입니다. 흔히 사고 이후 내상을 입었다는 표현을 쓰는 경우인데요. 특정부위가 지속 통증이 있는 경우 “혈어증”, 통증부위가 이동되면서 계속 아픈경우 “담음증”이라고 보고, 치료를 하게 됩니다. 또한 한약중에는 “속단, 두충” 등 뼈를 더 잘 붙게 하는 약재들이 있습니다. 골절부위가 잘 접합이 되지 않고, 오랫동안 불편할 경우 한방치료를 병행하면 훨씬 효과적입니다.
4. 특별히 처치를 할 수 없는 유소아의 경우
유소아 자동차사고의 특징(외상이 없는 경우)은 야간에 아이가 예민해지는경우, 사람을 보면 잘 놀라는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2번 정신적 외상의 연장선에 있다고 보면 됩니다. 아이가 침을 잘 못맞는 경우는 이침, 분구침(붙이는 침, 아프지 않아요.)을 시술 할 수 있으며, 심신을 안정시킬수 있는 약재를 함께 복용하게 됩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한방치료로 자동차 사고 후유증 치료를 할 수 있는 분야가 매우 많습니다. 초기 큰 외상 및 응급상황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 매우 유효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으로 한의원 치료를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사고는 안나는게 최선이지만, 사고가 난 상황에서는 한방치료를 적극 활용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God bless you.
의인 전재규.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