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학의 대가, 전성수 약사님과 의인한의원이 함께 합니다

공부를 더 하고 싶어서 군제대를 연기한 사람이 있습니다.

대체 무슨 사연일까요
?

현재 대웅제약 고문으로 계시는 전성수 약사님 이야기입니다.
전성수 약사님께서는 1937년생으로 현재 76이십니다.
그 분께서 군생활을 하실 때엔 지금처럼 의학저널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었겠죠
.

서울대 약대 출신으로 당시 공군에 입대하셨는데,
군으로 들어오는 외국 의학저널을 번역요약하여
군의관들에게 배포하는 작업을 하셨다고 합니다
.

그런데 의학저널을 통해 습득하는 지식이 너무나도 큰 기쁨이고 흥분이셨다고 합니다.
제대할 때가 되자내가 군을 제대하면 더 이상 의학저널을 접할 수가 없는데
…’
그런 고민 끝에 군제대를 연기하여 총 5년의 군생활을 하셨다고 합니다
.
전성수 약사님의 학문에 대한 열정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는 에피소드입니다
.

매일 새벽마다 인터넷을 통해 외국의학저널을 흡수하시는 전성수 약사님.
한독약품이 수입한 훼스탈이 국내 소화제 시장을 독점할 때
,
국내 최초로 베아제를 개발한 분이 바로 전성수 약사님입니다
. (우루사 역시 전약사님의 작품이죠)
 220종의 약품개발을 이루신 전성수 약사님은 가히 약학의 대가라 할 수 있습니다
.

서울대 약대가 낳은 3대 인물이 있습니다.
작고한 홍문화 교수, 전 과학원 장관 이상희 박사,
그리고..바로 전성수 약사님입니다.
빅 3 전성수 약사님과 의인한의원이 함께 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

*

양약과 한약의 병용.
많은 환자분들이 혼돈을 겪고 계시는 부분입니다
.

양방에서는 한약 먹으면 안된다고 하는데 어쩌죠?”
한약을 먹으면 간이 나빠진다고 하는데
..”
암환자가 보약 먹으면 암세포가 무럭 무럭 자라서 결국 금방 죽는다는데요
..”

양약 간에도 상호작용 및 부작용의 관계를 알고 처방하면 되는 것처럼

양약과 한약 역시 서로가 무조건 배척할 것이 아니라

환자에게 어떤 이득이 될 지
,
어떤 방향으로 힘을 합쳐 치료를 해야 할 지를 우선순위에 둬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양한방의 싸움은 의료인들의 이기적인 마음에서 오는 편견에 지나지 않을 것입니다
.

부친으로부터 한약 처방을 배운 것처럼
오랜 세월 양약을 개발하신 전성수 약사님으로부터 양약의 기전에 대해 배우기로 했습니다.

친히 의인한의원에 오셔서 저에게 1:1 맞춤 강의를 해주시고 계신 전성수 약사님
.
그 분의 귀한 가르침의료인으로써 갖춰야 할 사명과 가치관,
양약과 한약의 기전에 관한 모든 것을 
열심을 다해 흡수하고,
제가 익힌 가르침을 환자분들께 유익이 될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

마치 예전에 부친으로부터 처방에 대해 익혔던 것처럼
전약사님과 함께 공부를 하니, 부친의 모습과 오버랩되어 묘한 인연을 느꼈습니다..

전성수 약사님과의 몇 컷을 공개합니다.
제가 진료 후에 편한 복장으로 입고 찍은 사진이라 노출하기 좀 민망하지만
..
76
세의 연세에도 아이처럼 맑고 빛나는 눈을 가진 전성수 약사님
,
쉬지 않고 2-3시간 저에게 가르침을 쏟는 전약사님의 열정이 담긴 사진이라 그대로 공개합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