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 처방에 관하여
성조숙이 요즘 이슈가 많이 되고 있습니다. 40대 부모세대에 비해 대략 6개월-1년 정도 빠른 느낌이 있습니다.
성조숙과 관련된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서구식 식습관(서양인들이 나이에 비해 빠르게 성숙되죠), 육류(우리가 컨트롤 할수 없는 생산과정의 호르몬 주입)의 과잉, 비만(모든 비만에 해당되지는 않지만, 많은 경우 비만인 아이들이 조숙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성적자극에 노출(요즘 티비와 컴퓨터에 마음만 먹으면 성인물에 접촉할 수 있습니다) 등이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2차 성징은 두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친구들과 비슷한 시기에 2차성징이 발현된다면 그것을 부정적으로 볼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다만 여학생이 초등 3학년 4학년에 초경을 한다든지, 남학생이 5학년에 음모가 난다든지 하면 성장의 관점에선 부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보통 초경에 앞서 유방의 발육과 골반의 변화가 선행하므로, 부모님이 이미 성조숙을 인지하고 한의원에 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조숙 검사를 받고 내원하는 경우도 많고, 양방 호르몬 치료를 이미 하면서 한방을 병행하는 경우도 제법 있습니다. 성조숙 진단을 받았다면, 쉽게 이야기드리면, 주어진 시간안에 최대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투약과 치료를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특히 성장 백분위수가 낮다든지, 유전적 성장치가 낮은 경우는, 양방호르몬 요법도 1년 2년 이상의 장기치료를 하는것처럼, 한방의 성조숙처방과, 성장프로그램을 1년이상 장기적으로 끌고 가면 좋은 효과를 얻습니다.
비만인 아이들은 여기에 다이어트 약재를 가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세한 진단을 위해선 내원해서 상담받아 보시길 권합니다.
금일 내원한 11세 여아의 성조숙 처방은 성장에 도움이 되는 육미지황탕에 숙지황약재는 감량하고, 건지황을 넣어, 열의 밸런스를 조절했고, 지모 황백을 가하여 위로 뜨는 허열을 잡도록 처방했습니다. 동기에 비해 키가 작은 편이므로, 장기간(최소 6개월 이상)의 성조숙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아이도 부모도 웃을 수 있도록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랍니다.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